1:1 실시간 상담 02-2046-0800
이름
연락처
상담내용

동인소식

언론보도

동인 환경팀 "오염물질 배출 갈등..정부가 적극 중재해야"

1970.01.01
1970.01.01

동인 환경팀 "오염물질 배출 갈등..정부가 적극 중재해야"

동인 환경팀 "오염물질 배출 갈등..정부가 적극 중재해야" 


47d7b5c23ce54a7fe2c71f455e9779eb_1650934581_709.jpg
법무법인 동인의 이동국 변호사(사법연수원 28기, 가운데)와

서범석 변호사(연수원 36기, 왼쪽), 윤여창 변호사(연수원 44기, 오른쪽) 


"환경오염물질 배출 시설을 둘러싼 님비 문제는 정부가 조율하는 게 맞다"

법무법인 동인 환경바이오팀의 이동국 변호사(사법연수원 28기)와 서범석 변호사(연수원 36기), 윤여창 변호사(연수원 44기)는 26일 아주경제와 인터뷰에서 "최근 기존 환경 오염 물질 배출 업체를 인수하려는 기업들이 많다"면서 "인수하기 전에 해당 업종이 지자체와 어떤 분쟁을 일으킬 수 있는지 먼저 파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도로와 택지 등을 만드는데 기초가 되는 아스콘을 친환경적으로 생산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최근 늘었다. 서 변호사는 "신규 허가는 해주지 않는다"며 "기존 사업체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시작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기존 사업체들은 '환경오염물질'을 이유로 해당 지역 주민들과 갈등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 변호사와 서 변호사, 윤 변호사 등은 아스콘을 생산하는 제일산업개발 측 법률 대리를 맡고 있다.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위치한 제일산업개발은 주민들과 오염 물질 배출 등을 놓고 갈등을 빚어왔다. 서 변호사는 "발암물질이 관련한 피해 호소 민원은 오래 전부터 있었는데, 5년 전부터 조직화되고 집단화됐다"고 말했다. 


안양 연현마을 인근 아스콘 공장은 1987년부터 운영해왔으나, 2000년대에 들어 아파트 단지가 생기면서 아스콘 공장의 오염물질 배출 문제 등을 놓고 업체와 주민 간 갈등이 시작됐다. 이러한 갈등은 언론에 알려지고,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가 2018년 7월 취임 이후 처음 방문해 공영개발을 제안하면서 주목을 받게 됐다. 


그러나 제일산업개발 측이 반발하며 안양시와 경기도를 상대로 행정소송과 손해배상청구 등에 나섰고 사업 추진은 중단됐다. 


현재 제일산업개발은 안양시를 상대로 한 '악취배출시설에 대한 설치 신고 반려 처분 취소 소송'과 안양시를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 중이다. 악취배출시설에 대한 소송은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공장 가동을 방해해 제기된 손해배상 소송은 안양시, 안양시 의원, 연현마을 주민 대표를 상대로 서울중앙지법에서 진행되고 있다. 




"지자체의 무리한 조업정지가 문제"

앞서 제일산업개발은 경기도의 조업 정지 처분 취소 소송에서 승소했다. 


경기도는 2017년 경 아스콘 공장에서 1급 발암물질인 벤조a피렌(벤젠)을 검출해 공장에 사용중지 명령을 했다. 공장과 경기도는 유해물질 배출을 막기 위한 방지시설 처리에 대한 협의를 했지만, 도는 2018년 7월 주민의 건강·환경상 피해가 급박하다고 인정된다며 대기환경보전법 제34조 2항에 따라 공장에 조업정지 명령을 했다.


제일산업개발은 소송을 제기했지만, 1심 재판부는 경기도의 손을 들어줬다. 그러나 2심 재판부는 제일산업개발의 손을 들어주며 판결이 뒤집혔다. 


윤 변호사는 당시 승소 이유로 벤젠 배출량 관련해 법적으로 규제 가능한 수치가 명확하지 않았다는 점과, 공장에서 배출되는 환경 오염 물질 혹은 벤젠이 인근 주민들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지 근거도 없었다는 점을 들었다. 


이와 별개로 안양시와의 악취배출시설설치신고반려처분 취소 소송은 현재 대법원 계류 중이다. 윤 변호사는 "(제일산업개발 해당 공장 직원들은) 대부분 회사를 퇴사했고, 폐업만 하지 않은 상태"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또 지자체가 주민들의 민원을 처리한다는 명목으로, 제대로 된 실사 없이 기업에 조업 정지 처분을 하는 건 기업들의 생존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환경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은 엄격히 지킬 것...악취는 지자체가 나서야"

환경 오염 물질 배출 사업체는 법은 명확히 지키면서 주민들과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서 변호사는 "환경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은 엄격히 지켜야 한다"며 "한 번이라도 어길 시 (민원의) 빌미가 돼 지자체에서 단속할 권한이 생기니 위반 자체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고 말했다. 


이 변호사는 "환경 오염 물질 배출 사업체의 공통적인 문제는 '악취 문제'"라면서 "악취는 분쟁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지방자치단체나 정부가 나서서 주민과의 갈등 조율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서 변호사도 "정부가 지역 님비 현상의 중재자가 돼야 한다"고 의견을 보탰다. 


이들은 정부가 나서서 '님비 현상'을 조율한 해외 사례를 들었다. 이 변호사는 "예를 들어 지역 구조상 야간에 (공장 등을) 작동하면 악취가 많이 나면, 낮에 가동을 하는 것"이라면서 '시간 제한' 영업방식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생산량 자체를 제한하는 게 있는데, 생산량을 제한하면 악취가 줄어들 수 있다"고 부연했다. 



* 관련기사

[아주경제 신문] https://www.ajunews.com/view/20220414143415936 

개인정보처리방침

1. 처리하는 개인정보 항목
법무법인(유한) 동인(이하, “회사”라 합니다)은 다음과 같은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 필수입력 :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닉네임, 이메일, 휴대폰번호
- 선택입력 :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닉네임, 이메일, 휴대폰번호

3)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주소, 쿠키, MAC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불량 이용기록 등

2.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회사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이용 방지, 각종 고지-통지, 고충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서비스 제공, 콘텐츠 제공, 맞춤서비스 제공, 본인인증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3) 고충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4) 마케팅, 광고에의 활용
이벤트 및 광고성 정보 제공 및 참여기회 제공,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를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3.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회사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또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 회사명 홈페이지 탈퇴시까지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까지
- 관계 법령 위반에 따른 수사-조사 등이 진행중인 경우에는 해당수사·조사 종료시까지
- 홈페이지 이용에 따른 채권-채무관계 잔존시에는 해당 채권-채무관계 정산시까지

2) 재화 및 서비스 제공 : 재화·서비스 공급완료 및 요금결제·정산 완료시까지

4.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
이용 신청 고객은 위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하여 동의하지 않을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 위 개인정보는 \'법무법인(유한) 동인\' 가(이) 본 사이트 운영함에 있어 필수적인 정보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하여 동의하지 않는 이용자는 본 사이트의 회원 및 서비스 이용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이름: 서기원 기획홍보이사
- 전화번호: 02-2046-0627
- 이메일: info@donginlaw.co.kr

기타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신고나 상담이 필요하신 경우 다음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privacy.kisa.or.kr / 118)

-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privacy.kisa.or.kr / 118)

-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www.spo.go.kr / 02-3480-3573)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www.netan.go.kr / 1566-0112)